본문 바로가기
Git 사용법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깃헙 연결하기

by Nicole 2023. 11. 19.

우선 기존 Git을 사용 중이었다는 가정 하에 다운로드 등 과정은 생략하려고 한다.

 

1.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디렉토리에서 마우스 우클릭 > git bash 커맨드 창을 띄워준다.

해당 디렉토리에서 아래 커맨드를 입력한다.

git init

그럼 해당 파일에 git ignore와 같은 git 파일이 생성된다.

 

2. 

깃헙에서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고, ssh를 복사한다.

 

3.

원격 리포지토를 추가한다.

관행적으로 원격 리포지토리의 '닉네임'은 'origin'으로 지정한다.

git remote add origin 'SSH URL FROM GIT HUB'

 

4.

git bash에서는 master branch로 생성이 된 것 같은데,

우선, 깃의 main branch에 바로 커밋하지 않고, master에 올리고 난 뒤 main에 올리려고 한다.

git add .

 

위 커맨드로 해당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 단계에 올린다.

원격 저장소에 파일을 올리기 전, 우선 올려두는 장소라고 보면 된다.

 

git commit -m "message"

 

원하는 코멘트, 설명 등을 "message"에 적어주고

 

git push origin master

 

원격 리포지토리 'origin'의 'master' 브랜치에 커밋한다.

우선 그럼 파일들이 master 브랜치로 커밋된다.

이후 아래와 같이 master 브랜치의 파일들을 main으로 옮긴다.

초기에 fetch, pull은 한번씩 해줘야하는데 안해줬어서, 아래와 같이 커맨드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git checkout master
 
 git fetch origin
 git pull origin main --allow-unrelated-histories
 
 git pull --rebase
 
 git pull origin main --allow-unrelated-histories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in

 

 

이렇게 하면 main, master 브랜치가 싱크가 맞는다.

'Git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Key 등록하기  (0) 2023.11.19
Github student pack [학생팩 등록하기]  (0) 2021.03.22
git stash  (0) 2021.03.22
Git non-existing file push 문제 해결하기  (0) 2021.03.12
윈도우에서 git 사용법 정리  (0) 2021.01.31

댓글